반응형

 현재 산불이 많은 지역에서 발생해서 많은 분들이 걱정하고 계실 텐데요. 오늘은 그래서 산불이 발생하면 어떻게 해야 하며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산불의 원인

 

 산불이 나는 원인은 자연적인 원인과 인간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원인으로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요. 먼저 자연적인 원인으로는 번개로 인해 나무나 풀에 불이 붙거나 특정 식물이나 나무를 통해서 자연적인 발화가 생기는 경우, 혹은 화산으로 인해서도 불이 날 수 있습니다. 인간에 의해서 산불이 나는 경우는 담배꽁초를 아무 곳에 버리게 되면서 생기거나 불법으로 소각을 하는 경우, 전기 기기가 고장이 나면서 갑작스럽게 불이 나거나 캠핑이나 야외 활동을 하는 도중에 불씨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 이것이 퍼져 산불이 생기고 합니다. 여기에 더불어 기후가 건조하고 더운 날씨가 지속되거나 강수량이 부족하여 나무와 풀이 건조해지면 작은 불씨가 큰 산불로 이어지게 하는데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freepik

 

행동 요령

 

 산불이 발생하게 되면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산불을 발견했다면

 

1) 소방서, 경찰서, 산림부서, 국유림관리소, 산림항공본부, 지방산림처 등에 신고를 합니다.

2) 작은 불씨라면 외투 등으로 덮어 진화합니다.

3) 바람을 등지고 주변 낙엽, 나뭇가지 등 잘 탈 수 있는 물질을 제거하고 낮은 자세로 엎드려 구조를 기다립니다.

4) 산불이 커질 위험이 있다면 발생지로부터 떨어진 공터나 논밭으로 대피합니다.

5) 불길에 휩싸인 경우 침착하게 주위를 확인한 후 불기운이 약한 쪽으로 대피합니다. 

 

주택가로 산불이 내려왔을 때

 

1) 불씨가 옮겨 붙지 않도록 집 주면에 물을 뿌리고 문과 창문은 닫습니다.

2) 인화성이 있는 가스통, 가연물질 등을 치웁니다.

3) 산과 떨어진 공터나 논, 밭, 학교 등 안전 장소로 대피합니다. 만약, 주민대피령이 있다면 지시에 따라 신속히 대피해 주세요.

4) 대피하지 못한 주민이 있다면 옆집을 확인 후 위험상황을 공유해주어 대피할 수 있도록 합니다.

5) 재난 방송이나 알림을 통해 최신 정보를 계속 확인해주세요.

 

산불이 번져 위험하다면

 

1) 바람의 방향을 감안하여 산불의 진행경로가 아닌 곳으로 이동합니다.

2) 불이 이미 지나간 탄 장소, 도로, 바위 등 산불보다 낮은 곳이면서 불과 먼 곳으로 대피합니다.

 

freepik

 

 예방법

 

1) 산행 전 입산통제, 등산로 폐쇄 여부를 확인하여 산불 위험이 있는 곳으로 산행을 하지 않습니다.

2) 산에 가기 전 성냥, 담배와 같은 인화성 물질을 가지고 가지 마세요.

3) 취사나 모닥불을 피우는 것만큼 위험한 게 없습니다. 허용된 지역이 아닌 곳에서는 취사 및 모닥불을 피우지 마세요. 

4) 불씨를 다루는 경우가 있다면 간이 소화장비를 가지고 갑니다.

5) 불씨가 남은 담배는 버리지 마세요. 

6) 불법 소각은  산불을 유발할 수 있으니 피해 줍니다. 

 

 


 요즘 재난 문자를 보면 산불과 관련된 이야기가 많더라고요. 요즘같이 건조한 때에는 특히나 조심해야 하는데요. 산불은 자연적인 원인뿐만 아니라 사람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생태계를 파괴하는 것도 있지만 인명피해도 있을 수 있으니 더더욱 조심하고 주의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항상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시고 조심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요. 안전한 하루 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