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방역패스 기간에 대하여 알아볼 일이 생겼습니다. 얼마 전 친구 생일이었습니다. 큰 선물을 하기는 좀 그런? ㅋㅋㅋ 그래서 밥을 같이 먹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밥을 먹기로 했는데 친구가 말합니다. 

 

백신2차 맞기는 했는데... 14일 경과하려면 아직 일주일 넘게 남았어......... 
그래도 생일인데 음식점 갈려면ㅋㅋㅋㅋㅋㅋ검사받아야되니까 내일 만나...

 

 

  응? 그런 게 있어?? 하며 찾아보니 백신패스, 방역패스 기간이 있더라구요. 제가 잘 모르던 정보였으니 잘 모르시는 분들도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포스팅을 해보려 합니다. 친구의 경우에는 백신 1차를 맞고 굉장히 고생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미루고 미루다가 이제 맞는 거라고.... 방역패스, 백신패스에 대한 내용을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게시물을 전체적으로 읽고 나면 방역패스를 이해하게 될 겁니다. 방역패스의 지식이 필요하시면 전체 다 읽어주세요. 이제 아래에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일단 방역패스(백신패스)는 종류가 4가지 있습니다.

 

1. 예방접종증명서

 

2. PCR음성확인서

 

3. 격리해제 확인서

 

4. 접종증명, 음성확인제 예외확인서

 

 

설명드릴게요

1. 예방접종증명서

- 2차 접종 후 14일 ~ 180일 또는 3차 접종 후 즉시

  가장 일반적인 예방접종증명서입니다. 우리가 2차 접종, 3차 접종까지 했다는 증명서를 이야기하는데요 네이버어플이나 카카오어플, 토스어플이나 PASS어플로 확인이 가능하며 접종기관에서 받은 종이증명서나 주민센터에서 받을 수 있는 예방접종스티커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2차 접종 후에는 유효기간이 14일 ~ 180일이구요 3차 접종 후에는 유효기간이 업습니다. 정부가 코로나 백신 3차(부스터샷)를 독려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2. PCR음성확인서

-결과 통보 후 48시간 되는 날의 자정까지

PCR검사 즉 코로나 검사를 하고 코로나에 감염된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해주는 증명서입니다. 종이로 된 음성확인 증명서가 있어요. 지금 당장 코로나 음성임을 확인 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효기간이 짧습니다. 

3. 격리해제 확인서

-격리해제일로부터 180일

코로나에 감염된 뒤 완치하면 격리해제확인서를 받아요. 이 확인서는 180일 유효기간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4. 접종증명, 음성확인제 예외확인서

-예외확인서에 적힌 유효기간 확인(유효기간 만료일 없을 시 발급일로 부터 180일)

코로나 백신을 접종할 수 없는 사람들이 있겠죠? 그런 사람들을 위한 확인서, 예외확인서입니다. 예를 들어 1차 접종 후 중대한 이상반응 발생으로 2차 접종이 연기되거나 금기되는 대상자(아나필락시스, 혈소판감소성혈전증, 모세혈관누출증후군, 심근염, 심낭염 등)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유효기간의 만료일이 없어요. 백신을 맞을 수 없으니 유효기간이 없죠. 단 면역결핍이나 항암제 투여 등으로 접종 연기가 필요하다면 확인서 발급일로부터 180일동안 방역패스가 유효합니다.

예외확인서를 받기가 굉장히 까다로운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며칠동안 몸살같은 기운이 너무 심해서, 한쪽 몸이 저려서 등으로는 예외확인서를 받기가 어렵다고 들었어요. 하지만 본인이 필요하다고 하시면 반드시 해당 보건소에 연락해보시기를 바랍니다.

 

백신패스를 공유해드렸습니다. 모두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것도 궁금하시다면 위의 글들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구독, 하트(공감)를 부탁드립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